
혜성(Comet)은 태양계에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빛나는 천체로, 일반적으로 얼음, 먼지, 가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성: 혜성은 주로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얼음은 수소, 헬륨, 산소, 질소, 탄소 등의 화학 물질로 이루어진 얼음입니다. 먼지와 암석성 물질도 혜성의 핵 주변에 존재합니다. 얼음과 먼지는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질 때 열과 복사에 의해 기체로 변하고, 이에 따라 꼬리가 형성됩니다.
궤도: 혜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형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많은 혜성들은 원근일점(Perihelion)과 원원일점(Aphelion) 사이를 돌아다니며, 주기적으로 지구와 가까워지는 혜성들도 있습니다. 일부 혜성들은 장기적인 타원형 또는 파라볼릭 궤도를 가지며, 이러한 혜성들은 헬리우스 스트림(Helius Stream)이라고 알려진 태양계의 외부로부터 유입됩니다.
꼬리: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질 때, 태양의 복사와 태양풍에 의해 기체와 먼지로 이루어진 꼬리가 형성됩니다. 꼬리는 일반적으로 태양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혜성과 태양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와 밝기가 달라집니다. 꼬리는 핵 주변의 기체가 태양의 열에 의해 증발하고, 태양풍의 압력에 의해 꼬리 방향으로 퍼져 나가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활동성: 혜성은 태양과 가까워질 때 활발한 활동을 보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열과 복사를 받으면 얼음이 기체로 변하고, 기체는 꼬리로 향하며 확장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핵 주변에서 일어나며, 밝은 혜성의 꼬리를 형성하는 주된 원인입니다. 활동성은 혜성의 조성, 크기, 궤도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탐사와 연구: 혜성은 탐사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우주 탐사 미션의 대상입니다. NASA의 스타더스트(Stardust) 미션은 2004년에 완료되었으며, 혜성 81P/와일드(Wild 2)에서 샘플을 수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유럽 우주정거장의 로지탄(Lander) 미션은 2014년에 킬트(67P/Churyumov-Gerasimenko) 혜성에 착륙하여 혜성의 표면과 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혜성은 인간이 살기에는 매우 적합하지 않은 환경을 가진 천체입니다.
1. 극도로 추운 온도: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고, 그 결과로 혜성의 온도는 매우 추워집니다. 핵 주변에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마이너스 200도에서 마이너스 100도 사이로 추정되며, 이는 인간이 살기에는 극도로 추운 환경입니다.
2. 대기 조건: 혜성은 극히 얇은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기의 압력이 매우 낮고, 주로 수소, 헬륨, 메탄, 아마모니아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대기 조건은 인간이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하지 않으며, 신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먼지와 위험물질: 혜성은 먼지와 위험한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먼지와 화학 물질은 인간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며, 호흡 문제나 피부 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중력: 혜성의 중력은 지구의 중력보다 매우 약합니다. 중력이 약한 환경에서는 인간의 신체 구조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체류할 경우 근육 감소와 뼈의 강도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자원의 부족: 혜성은 생존에 필요한 자원이 제한적입니다. 음식과 수송, 에너지 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지구에서의 생활과 비교할 때 필요한 자원을 혜성에서 확보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혜성은 인류의 역사에서 예로부터 관찰되고 있었지만, 혜성을 체계적으로 발견하고 기록한 최초의 사람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혜성 발견의 몇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
에드먼드 할리(Halley): 에드먼드 할리는 1682년에 할리의 혜성으로도 알려진 1P/할리 혜성을 발견한 과학자입니다. 이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지구에 가까워지는 혜성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할리는 이 혜성의 주기성을 예측하여 발견했습니다.
마리아 허츠틀(Herschel): 마리아 허츠틀은 18세기에 많은 혜성을 발견한 여성 천문학자입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혜성은 35P/허츠틀-레비-론 혜성이며, 이는 허츠틀과 그 형제인 윌리엄 허츨과 알렉산더 허츨과 함께 관측하고 발견한 것입니다.
윌리엄 허츨(Herschel): 윌리엄 허츨은 1781년에 천왕성을 발견하면서 더 유명해졌지만, 그 이전에도 몇몇 혜성을 발견하고 연구하였습니다. 그는 허츠틀과 함께 혜성 관측을 많이 진행하였고, 많은 혜성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습니다.
'일상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 그림 생성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3.07.03 |
---|---|
오토드로우 ai 그림 그리는 사이트와 방법 알려드립니다! (0) | 2023.07.03 |
PSG 오피셜 이강인 D-day?? 해외축구 최신소식 (0) | 2023.06.29 |
아스테카 제국 , 인카 제국은 무엇인가? (0) | 2023.06.25 |
로마 포에니 전쟁이란? (0) | 2023.06.24 |